본문 바로가기

섬유 관련 시험 규격

과불화화합물 (PFAS) 규제 현황 (2024년 5월 19일 기준)

반응형

 

과불화화합물 (PFAS)은 뛰어난 방수, 방오, 내열성을 지닌 인공 화학 물질 그룹으로, 방수 옷, 카펫, 가구, 테프론 코팅, 화장품, 소방 폼, 전자 기기 등 다양한 제품에 사용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PFAS가 인체 및 환경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잇따라 발표되면서 각 국가에서 규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주요 규제 내용>


유럽 연합 (EU): PFAS 규제에서 가장 적극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으며, 1만 종 이상의 PFAS 사용을 제한하려는 움직임이 주도되고 있습니다. (2023년 7월 기준)

  • 2023년 2월: 유럽화학물질청(ECHA), 1만 종 이상의 PFAS 사용 제한을 위한 제안 공개
  • 2023년 7월: 유럽연합 이사회, PFOS 및 PFOA 사용 금지 규제 확대 합의 (2026년부터 시행 예정)

미국: 연방 정부와 주 정부에서 다양한 규제를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음용수 오염 방지를 위한 노력에 힘쓰고 있습니다.

  • 2019년: PFOS와 PFOA의 음용수 오염 허용 기준 설정
  • 2021년: PFAS 생산 및 사용을 단계적으로 축소하는 대통령 행정 명령 발표
  • 2023년: 일부 PFAS 화학 물질의 취급 및 제조를 규제하는 법안 심의 중

한국: 아직 초기 단계이지만, 식품, 화장품, 환경 분야에서 점차 규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 2017년: 식품 및 화장품에서 PFOS와 PFOA 함량 기준 설정
  • 2023년: 환경부, PFAS 관리 및 규제 방안 마련 추진 (구체적인 규제 방안은 아직 결정되지 않음)

기타 국가: 일본, 캐나다, 호주 등 다른 국가들도 PFAS 규제를 도입하거나 강화하고 있습니다.

 

<과불화화합물 규제의 영향>

  • 산업: PFAS 사용 제한으로 인해 관련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방수 옷, 전자 기기, 소방 폼 등의 생산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소비자: PFAS 함유 제품 구매가 어려워질 수 있으며, 제품 가격 인상도 예상됩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PFAS로 인한 건강 및 환경 피해를 줄일 수 있어 긍정적인 영향도 기대됩니다.

참고 자료:

주의:

  • 본 정보는 2024년 5월 19일 기준이며, 추후 변동될 수 있습니다.
  • 각 국가의 규제는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므로, 최신 정보는 관련 기관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섬유 관련 시험 규격' 카테고리의 다른 글

Bisphenols 규제와 대책  (0) 2024.05.25
비스페놀이란? (Bisphenols)  (0) 2024.05.24
PFAS (과불화화합물)  (0) 2024.05.19
SVHC (Substances of Very High Concern)  (0) 2024.05.17
ZDHC에 대해  (0) 2024.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