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섬유 관련 시험 규격

Bisphenols 규제와 대책

반응형

우리는 일상생활 속에서 아래와 같은 경로로 비스페놀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플라스틱 용기: 폴리카보네이트 플라스틱으로 만든 식기, 용기, 수납 용품 등을 사용하면 비스페놀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식품 포장재: 일부 식품 포장재에 비스페놀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화장품: 일부 화장품에 비스페놀이 함유될 수 있습니다.

영수증: 열전달 용지로 인쇄된 영수증에는 비스페놀이 함유될 수 있습니다.

먼지: 비스페놀이 함유된 제품에서 방출된 먼지가 흡입될 수 있습니다.

 

비스페놀 규제:

  • 유럽 연합 (EU): BPA 사용을 일부 제한하는 규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2023년 7월에는 1만 종 이상의 비스페놀 사용을 제한하는 규제를 더욱 강화했습니다.
  • 미국: 연방 정부와 주 정부에서 다양한 규제를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식품 및 음료 용기에 사용되는 BPA를 제한하는 규제가 논의되고 있습니다.
  •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BPA 함유 유아용 플라스틱 제품 사용을 제한하는 규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화장품 및 의약품에 사용되는 비스페놀 규제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 기타 국가: 일본, 캐나다, 호주 등 다른 국가들도 비스페놀 규제를 도입하거나 강화하고 있습니다.

대책

  • BPA 프리 플라스틱: BPA 대신 다른 물질로 제조된 플라스틱 제품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유리, 스테인리스 스틸, 세라믹 제품: 플라스틱 대신 유리, 스테인리스 스틸, 세라믹 등의 안전한 재료로 만든 식기 및 용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BPA 프리 화장품 및 개인위생 용품: BPA가 함유되지 않은 화장품 및 개인위생 용품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신선한 식품 섭취: 가공식품 대신 신선한 식품을 섭취하면 식품 포장재로부터 비스페놀 노출을 줄일 수 있습니다.

결론은, 암튼간에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자!!!!!!!!!

반응형